식이요법을 시작하면서 제일 먼저 빵과 감자 칩, 그리고 각종 당분이 들어간 간식을 끊었다.
.. 그런 음식을 끊은 것만으로도 첫 달에만 8kg이 빠졌다.
그때부터 본격적으로 저탄수화물 고지방 식이를 시작했다.
... 탄수화물과 가공식품은 물론 당분이 들어간 모든 음식, 심지어 과일조차도 제한했다.
그 결과 눈에 보일만큼 체중이 매일매일 줄었고 활동적으로 변화했다.
살은 빠졌지만 에너지가 넘쳤고 삶에 생기가 돌기 시작했다.
늘 성분표에 있는 식이섬유의 양도 함께 본다.
탄수화물 양에서 식이섬유의 양을 빼면 그 음식에 들어있는 정확한 탄수화물 양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하루 식사 중 탄수화물은 50g을 넘기지 않고 전체 칼로리의 70%를 지방으로 섭취하는 것, 이것이 바로 알트 씨의 다이어트 식단이다.
당이 남으면 당을 에너지원으로 쓸 필요가 없어졌다고 생각하고 다른 곳으로 당을 보내라고 지시하고, 그 지시에 따라 인슐린은 이 당을 지방세포에 저장한다. 지방세포의 크기가 점점 커지는 것이다. 결국 높은 혈당과 인슐린의 과다 분비가 비만을 불러온다.
혈당과 인슐린을 높이는 음식을 먹지 않는 것이 다이어트의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그래서 고지방 식단을 이야기하는 겁니다. 단백질과 탄수화물, 지방 중 혈당과 인슐린 수치를 높이지 않는 것은 지방 뿐입니다.
지방을 먹으면 살이 찌고 혈액 속에 지방이 쌇일 것이라는 기존의 상식을 완전히 뒤집는 결과였다.
... 그렇다면 지방은 왜 누명을 쓰게 된 것일까?
지방 = 비만 = 질병... 이라는 공식은 어떻게 탄생한 것일까?
지방을 먹어도 괜찮다.
건강을 유지하려면 더 많은 지방을 먹어라.
설탕은 새로운 담배(흡연)이다.
지방을 먹는 것은 몸에 지방을 쌓는 것이 아니다.
지방을 섭취한다고 해서 뚱뚱해지지 않는다.
저지방이 아닌 우유, 요구르트, 치즈 등 일반 유제품은 심장병 발병과 관련이 없다.
저지방과 라이트, 저콜레스테롤 등의 표기를 쓰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2형 당뇨를 막으려면 지방이 아니라 고탄수화물 식품을 제한해야 한다.
칼로리 계산을 멈추고 대신 운동해야 한다.
자연 상태가 아닌 산업적으로 생산된 오일을 피해야 한다.
생활 습관병이라고 알려진 병의 대부분 증상은 당질을 제한하면 좋아집니다.
고혈압, 비만, 대사증후군, 알레르기성 질병, 아토피, 역류성 식도염이 있지요.
여드름과 편두통도 마찬가지입니다.
즉 원인 불명의 질병 대부분이 당질 제한 식이로 좋아집니다.
GI 지수가 높을수록 체지방으로 바뀌는 시간이 짧고 공복감을 빨리 느끼며 지방이 더 많이 축적된다.
바나나,고구마 , 사과, 단호박, 우유, 미역, 버섯, 땅콩, 현미밥 등이 대표적인 저당지수 음식으로 지방으로 변환되는 양은 적고 포만감은 비교적 오래간다.
'오늘의 처방전(책 한 구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거에는 바보들이 돈을 뜯기곤 했다. 하지만 이제는 모든 사람들이 그러고 있다. (1) | 2025.04.28 |
---|---|
아르헨티나는 1908년 세계 7위의 경제 대국이었다. (0) | 2025.04.28 |
당신은 언제 자신이 부자라고 생각하는가? (3) | 2025.04.25 |
람보르기니의 젊은 주인... 그의 직업은 무엇이었을까? (0) | 2025.04.24 |
읽기도 무척 중요하다. 그러나 읽기보다 쓰기가 훨씬 중요하다.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