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결론부터,
1. 중국이니 유럽이니 해도 결국 미국 주식 시장... 미국 죽으면 다 죽어
2. 채권이 올라서 주식 하락을 방어해주고 있다.
너무 요약했나.. ㅎㅎ
이거저거 봐도 결론은 자산배분이다. 주식은 미국 중심으로.. 다른 국가는 조금만..
미국 증시가 흔들린다.
vix 상승이 보내는 위험 신호
이거 보고 공부함.
https://youtu.be/26Ks_eTBYTU?si=BVCimsMd8DhGuho-
* 트럼프 당선되고 미국 증시
한 마디로 요약하면 '줬다가 뺏음.'
1. 테슬라 및 미국 주가 쫙 올라갔다가 원위치 혹은 그 아래로 더 내려감.
2. 비트코인 역시 쫙 올라갔다가 원위치 혹은 그 아래로 더 내려감.
3. 미국채 10년물 4.3에서 4.8까지 쫙 올라갔다가 4.3으로 다시 내려옴.
4. 달러인덱스 104부근에서 110까지 쫙 올라갔다가 다시 104로 내려옴.
* 채권이 드디어 안전 자산의 역할을 해주기 시작함.
주식이 빠질 때 채권이 오르기 시작했다.
안전자산이라는 것은 변동이 없다는 게 아니라 주식의 반대 방향,
즉 주식이 오를 때는 채권이 조금 내리고(다만... 주식이 오르는 만큼 내리는 게 아니라 좀 덜 내려...)
주식이 내릴 때는 채권이 올라서 자산을 지켜주는 것
* 트럼프 취임 이후 가장 많이 오른 자산은
홍콩항셍(중국 안에서도 기술주만 오르고 있다. 이전처럼 부동산을 부양하지 않는다.)
독일
나스닥은 안 좋다. 취임 이후 미국 증시 안 좋다.
홍콩항셍, 러시아, 오스트리아, 폴란드, 스페인, 독일, 스위스, 중국(심천), 이탈리아...
등등 중국과 유럽 증시가 좋다.
* 미국이 무너지면 한국 시장은 더 무너진다.
지금 중국 기술주(홍콩항셍)가 오르니까 한국 시장도 덩달아 올라주는 것이지
여기서 미국이 계속 무너지면 전 세계가 다 고꾸러진다. 특히 이머징 마켓은 더 크게 무너진다.
*vix 지수 24.. 즉 20을 넘어섰다. 굉장히 높다.
주식 시장의 변동성이 굉장히 클 것이다.
하루에 주가지수가 이렇게 2% 씩 오르고 내리고 하면 안 된다.
이렇게 되면 결국 주가 지수는 아랫쪽으로 방향을 잡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미국 시장에서 돈이 빠져서 유럽과 중국으로 돈이 들어가는 것인가?
그건 아니다.
지금 현재 달러지수가 내려오고 있는 것은 트럼프 트레이드로 너무 많이 오른 달러가 다시 원위치를 찾아가는 과정일 뿐이지 본격적으로 미국 외 시장으로 흘러들어가는 것 같지는 않다.
막연히 2023, 2024 미국 시장만 좋았고 우리 시장은 안 좋았으니까
이제 우리 시장이 좋아질 거야... 하고 생각하는 것은 위험하다.
'집 팔고 해외 주식&채권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 방산주 최고가 행진, 주목할 유럽 ETF (0) | 2025.03.13 |
---|---|
2025.03.11. 종목 매매 (2) | 2025.03.11 |
엔은 뭘로 투자해? 일본 주식? 일본 리츠? 일본 채권? 엔화 환전? (2) | 2025.03.09 |
K방산 ETF (0) | 2025.03.08 |
지금 나스닥 붕괴는 엔캐리 청산 중이 아닐까... 하는 의문이... (0)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