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와 함께 공부

이런 고등학교 절대로 보내지 마세요!

책마을 2025. 4. 7. 20:04

이거 보고 정리 함.

내 경험도 추가, 파란색)

 

이런 고등학교는 절대로 보내지 마세요!

 

1. 새로 생긴 학교 : 당연하다! 절대 보내면 안 된다. 선생님들도 개피곤.. 기본업무와 수업하기도 바쁜데 신설학교는 선생님들이 시스템을 완전 새로 만들어야 한다. 오... 노!!

예전에는 점수 준다고 해서 열심히 하는 사람들이 가기도 했는데 요즘은 아마도 점수도 안 줄 거고... 장학사, 교감, 교장을 별로 원하지 않기 때문에..... ㅎㅎㅎ 점수를 원하지도 않는다.

 

2. 인원 수가 적은 학교 : 고교학점제에서는 3학년 1학기까지 상대평가 과목이 대부분이다. 예전보다 더 많아졌다!!! 어떻게 이런 일이!! 그러므로 내신을 받으려면 상대적으로 인원 수가 많은 학교가 낫다. 

 

3. 인풋 대비 아웃풋이 좋지 않은 학교 : 강남 학교 생각하면 된다. 강남에서 서울대 많이 간다고 하지만 인풋 학생들 보면..사실 그 아이들은 학원 빨로 정시로 그리고 재수로 가는 경우가 많다. 그냥 생각해도 내신 받기 겁나 빡시겠지.. 시험 문제도 완전 차이난다. 강남과 강북은.. 오히려 비강남권 학교 학생들이 수시로 대학을 잘 간다.

 

4. 먼 거리의 학교 : 당연!! 이건 만사 다 그렇다. 우리도 출퇴근 시간이 한시간 넘어가면 개피곤한데 고등학생들이야 오죽 하겠는가... 집에 빨리 가서 게임도 하고 공부도 가끔(?) 하고 그래야 하는데... 아 그리고 고등학교 가면 애들 공부 겁나 열심히 하는 줄 아시는데... 아... 이거 왜이러세요..? 고등학교 다들 나오셨잖아요~~ 게다가 우리 다닐 때마다 재미있는 게 얼마나 많은가? 게임, 유튜브!! 이거 하는 중간중간 공부하려면 고등학교는 가깝게~ 

 

 

학생 유형별 : 성실하지만 선행을 많이 하지 않은 학생은?

수능 중심의 학교는 보내지 않는 게 좋다.

학교 중에는 이런 학교가 있다. 아이들이 겁나 공부를 잘 하는 애들이 모인 거다.

특히 이과 과목(수학이나 과학)을 선행 많이 한 아이들이 모여드는 학교가 있다.

특목고 등 지방 비평준화 학교든 자사고든... 그런 학교가 있다.

그런 학교는 수업을 알지? 알지? 하고 넘어가고 시험문제를 1학년 때부터 수능형으로 내버린다.

선행 많이 안 한 애는 멘붕!

수학, 과학 선행 많이 안 한 아이는 내신 중심의 학교... 그리고 일반 선택에서 과학 과목 말고 사회 과목을 많이 선택하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