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은 뭘로 투자해? 일본 주식? 일본 리츠? 일본 채권? 엔화 환전?
나는 대부분의 금융자산이 달러 자산이다.
미국 주식, 미국 채권, (달러로 산) 금과 은 등등...
오건영 책을 읽어보니
달러만큼 엔도 궁극의 안전 자산이다.
그렇다면 엔도 달러처럼
일본 주식, 일본 리츠, 일본 채권 등으로 투자할까?
결론부터 말하면.. 엔은 그냥 환전해서 갖고 있기로 함.
나는 전체 자산의 4%를 현금(원과 달러)으로 갖고 있는데 그 중 1%를 엔으로 갖고 있는 게 좋겠다는 생각이다.
자... 그럼 왜 그럼 결론을 내렸는지 빌드업 시작
달러와 엔, 궁극의 안전자산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불거질 때, 글로벌 금융시장이 불안할 때 안전자산으로의 자금 쏠림이 뚜렷해진다.
궁극의 안전자산은...
다른 자산이 무너져내릴 때 오히려 큰 폭으로 강세를 보이면서 내 투자 자산 포트폴리오의 일방적인 손실 확대를 막아서곤 한다.
달러엔 자산 추이
전세계 시장이 위기에 빠질 때마다 강한 엔화를 보인다.
그럼... 달러처럼 엔화도 일본 주식, 일본 채권에 투자하면 되는 것인가?
그러나... 엔화는 달러와는 결이 다르다.
일본의 중장기적인 압도적 성장을 보면서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과도한 엔 약세의 되돌림에서 기회를 찾는 것이다.
엔화가 강세를 보인다면 수출 기업이 중심이 되는 일본 주요 주가 지수가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이는 경향이 있죠.... 엔화표시 일본 주식을 사는 투자 방식은 엔화의 특성을 살리는 투자 컨셉으로는 다소 적절치 않은 것으로 보인다.
가장 가까운 엔화 강세 시기
2024.08.05.
엔화가 강세를 일으켜 쫙 올라간 시기..
자 그럼 비교해보자.
그날 각각 어떤 흐름을 보였는지...
FXY : 엔화
NOMURA 리츠(1343) : 일본 부동산에 투자하는 리츠
QQQ : 미국 나스닥
EWJ : 일본 주식에 투자하는 상품
2024.08.05.
이날
가장 급락한 건 역시 미국 나스닥(QQQ)
그러나 일본 주식도(EWJ) 일본 리츠(1343)도 같이 떨어졌다. 물론 그 기울기는 나스닥보다는 약했지만..
이날 급등한 건 역시 엔화(FXI)
그렇다면 자산 배분의 하나로 FXI를 사면 되겠는가?
물론 그래도 되는데.. FXI는 매도 차익에 양도세 22%가 붙는다.
세금 아깝..
그래서 그냥 엔화로 환전해서 두는 게 젤로 좋은 것 같다.
환차익에 대해서는 세금이 붙지 않기 때문이다.